![](https://blog.kakaocdn.net/dn/c2FZ79/btrq6vgs3rN/d5dilktxxvK9ax1V9F7gZ1/img.png)
안녕하세요
해부학적운동 목동점
점장 김우태 트레이너입니다.
좌식생활이 많아진 요즘
사람들 사이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통증 중 하나
어깨결림(승모근 통증)을 해결하는 방법 중
운동으로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공유하고자 합니다.
우리가 알고있는 승모근은
![](https://blog.kakaocdn.net/dn/WnCCZ/btrq6Y3m55j/KvOYw4lEabEhCQ4dKJ5YU0/img.jpg)
위 사진에 나온부위로 알고있는데
![](https://blog.kakaocdn.net/dn/cTeL3M/btrq7Vk8wuO/e9QHHV83QzKUTcMLkRp94K/img.jpg)
마치 가오리같이 생겼죠?
자세히 보면 한 방향으로 주행하는 결을 볼 수 있는데
주행경로에 따라
![](https://blog.kakaocdn.net/dn/cqRfex/btrq4uvbZVx/EIZUpSlPYxbRzfJVTeRyD0/img.jpg)
상부 중부 하부 이렇게 3가지로 나뉩니다.
그리고 승모근의 압통점과 방사통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Ii74H/btrq7bu0eKr/GiHGxHf9KrozmO55L6zIi0/img.jpg)
x표는 통증을 일으키는 압통점이며
빨간색으로 표시된 부위가 방사통으로
통증이 나타나는 부위입니다.
TP1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
편두통과 어지러움증
그리고
눈에 피로감도 전달시킬 수 있습니다.
TP3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
거리가 많이 떨어져있지만
뒷목과 어깨쪽에 묵직한 통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트리거포인트(TP)가 생기는 여러가지 원인 중 하나인
근육의 과긴장과 약화에 의한 문제로 접근해보았을때
승모근의 힘의 방향을 다른 근육의 올바른 기능향상으로
어느정도 중립에 가깝게 만들어 주게되면
만성적인 통증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어떤 근육들을 운동해야 할까요?
![](https://blog.kakaocdn.net/dn/cjkKiu/btrq5o2VMF8/AXkJWQs7FQp0P7WnSzYtc1/img.jpg)
근육은 가지고 있는 결의 방향대로 움직이며
질량이 클수록 힘의 세기도 큽니다.
1. 광배근(Latissimus dorsi)
2. 하부승모근(Lower trapezius)
이 근육 외에도 여러가지 근육들이 있으나
우선적으로 두가지 근육만 뽑아보았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uSbPy/btrq69Rth8o/RqzXGwdxlFqx88BYNQGQN0/img.png)
뒤에서 바라본 렛풀다운 머신을 활용한 운동입니다.
왼쪽 사진에서의 노란색 화살표는
허리보다 등을 활용하여
흉곽을 열어준 상태에서 쇄골뼈를 내려주는 힘을 줘야한다는 표시이며
오른쪽 사진에서의 빨간색 화살표는
수축되는 근육 중
하부승모근과
광배근의 방향을 표시한것입니다.
렛풀다운을 할때 가장 중요한 두가지만 뽑자면
허리보다 등을 이용하여 흉곽을 펴줘야하는 것이며,
쇄골뼈를 뒤쪽으로 내려주는 힘을 지속적으로 주어야 한다는 것 입니다.
이 두가지가 되지않는상태에서 운동이 지속 될 경우
오히려 승모근에 더 뻐근함을 일으킬 수 있고
어깨 전면부에 통증을 일으킬 수 있으니
위 동작이 잘 나오지 않는다면
가슴 근육 스트레칭과 등 근육 스트레칭을 선제적으로 하고
진행을 하게되면 더 쉬운 움직임이 나올 수 있습니다.
![]() |
![]() |
왼쪽 : 가슴 스트레칭 / 오른쪽 : 등 스트레칭
제 주변에도 운동을 통하여
어깨와 허리 및 무릎과 같이 관절 질환 및 근 골격계 문제를
보완 및 예방해가시는 분들이 계신데
물어보면 정확한 원인을 모르는 상태에서
운동으로 좋아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결과가 좋아지면 됐지 하고 쉽게 간과할수있는 부분이긴 하나
더 큰 문제로 이어지는 경우도 간간히 볼수있습니다.
우리 몸은 수동적조직(근육 외 조직)과 능동적조직(근육)들이 있습니다.
![]() |
![]() |
![]() |
왼쪽 사진 : 우리몸의 인대 / 가운데 사진 : 우리몸의 신경 / 오른쪽 사진 : 우리몸의 근육
능동적조직(근육)의 관리는
수동적관리(누군가 해주는 행위)와
능동적관리(직접 근육을 사용하여 수축시키는 행위)가
필요합니다.
그래서
우리 해부학적운동 목동점에서는
회원님들의 운동목적 및 불편사항을
원인에 근거하여 여러가지 전략을
해부학적 운동 및 근막 스트레칭으로 관리해 드리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승모근으로 인한 어깨결림 및 두통과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는 방법에 대한 글 이였습니다.
카톡 아이디 Reo777
![](https://blog.kakaocdn.net/dn/bFuUWl/btrq7bPlP9j/jrwpPqFcJQdj8257G1T7Xk/img.jpg)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로25길 6 201호
'제대로 알고 운동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접질린 발목 또 접질리는 이유는 무엇일까? (0) | 2022.01.26 |
---|---|
[등 운동] 바벨 로우 할 때 허리 통증(Barbell row) (0) | 2022.01.26 |
허리 통증! 앉아있는 자세에서 허리가 아프다면? (0) | 2022.01.17 |
볼링 칠 때 어깨 통증 그 이유는 무엇인가? (볼링 어깨 통증) (0) | 2022.01.14 |
클라이밍(Climbing) 어깨 통증 / 암벽 등반 어깨 통증 (0) | 2022.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