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부근육(Abdominal muscles)은 크게 4가지 근육들로 이루어져 있다. 앞에서 흔히 우리가 왕(王)자 근육으로 알려진 복직근(Rectus abdominis), 복부의 가장 겉을 둘러싸고 있는 외복사근(External oblique abdominis), 그 안에 옆구리 부분에 감싸져있는 내복사근(Internal obliqu abdominis), 복부의 가장 심층을 이루고있는 복횡근(Transvers abdominis)으로 나누어 진다. 추가적으로 복직근의 하단부에 붙었는 삼각형 모양의 작은 근육인 추체근(Pyramidalis)이 있다.
요부는 흉부의 중요한 내장기관을 보호하는 갈비뼈와 같은 골격구조가 없기에 근육 구조로 그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복부근육들은 횡격막(Diaphram)과 골반기저근(Pelvic floor muscle)과 함께 복압(Intra-Abdominal pressure)을 형성하여 요부의 핵심기관과 그 구조들을 외부의 충격으로 부터 보호하며, 스쿼트(Squat)나 데드리프트(Deadlift)와 같은 고중량 운동에 있어서 추간판(Intervertebral disc)의 손상을 막는 역할을 수행한다.
1. 복직근과 추체근(Rectus abdominis & Pyramidalis) => 복직근 기시부(Origin) : 치골능(Crest of pubic tubercle) 정지부(Insertion) : - 제5, 6, 7번 늑연골(Rib catilage - 검상돌기(Xiphoid process) 작용(Action) - 척추의 굴곡(Flexes vertebral column) - 복압증가(Compresses abdominal viscera) - 복벽을 긴장시킴(Tenses abdominal wall) 신경지배(Innervation) : 척수신경(Spinal nerve), T07 - T12 2. 추체근(Pyramidalis) 기시부(Origin) : 치골의 앞쪽 정지부(Insertion) : - 배꼽과 치골결합의 사이의 중간위치 백선(Linea alba) 작용(Action) : 백선을 긴장시킴(Tenses linea alba) 신경지배(Innervation) : 늑간신경(Intercostal nerve), T12 |
|
3. 외복사근(External oblique abdominis) 기시부(Origin) - 백선(Linea line) - 장골능(Iliac crest)의 앞쪽 1/2 정지부(Insertion) - 하부 8개 늑골의 하연 ※ 위쪽 5개는 전거근(Serratus anterior)과 섞이고, 아래3개는 광배근(Latissimus dorsi)과 섞인다. 작용(Action) - 일측 작용시 : 측굴(Side band)과 반대측회전(Rotation) - 양측 작용시 : 척추의 굴곡, 복압증가 신경지배(Innervation) - 장골하복신경(Iliohypogastric nerve) - 장골서혜신경(Ilioinguinal nerve) - 늑간신경(Intercostal nerve) |
|
4. 내복사근(Internal oblique abdominalis) 기시부(Origin) - 서혜인대(Inguinal ligament) - 장골능(Iliac crest) - 흉요근막의 하부(Thoracolumbar fascia) 정지부(Insertion) - 마지막4(3)개 늑골의 늑연골 - 백선(전, 후 복직근초를 통해서 부착) -치골궁(복횡근 건과 합쳐져서 부착) 작용(Action) - 일측작용시 : 측굴(Side band)과 동측회전(Rotation) 신경지배(Innervation) - 장골하복신경(Iliohypogastric nerve) (T12 - L01) - 장골서혜신경(Ilioinguinal nerve) (T12 - L01) - 늑간신경(Intercostal nerve) |
|
5. 복횡근(Transverse abdominis) 기시부(Origin) : 백선(Linea line) 복직근초를 통해 부착 정지부(Insertion) - 서혜인대(Inguinal ligament)의 외측 1/3 - 장골능(Iliac crest)의 앞쪽 3/4 - 흉요근막(Thoracolumbar fascia) - 마지막 6개의 늑골의 늑연골 안쪽면 (횡격막(Diaphram)의 근섬유와 섞인다.) 작용(Action) : 복압증가(Compresses abdominal viscera) 신경지배(Innervation) - 장골하복신경(Iliohypogastric nerve) (T12 - L01) - 장골서혜신경(Ilioinguinal nerve) (T12 - L01) - T07 - L01 |
★ 복부 근육들의 기능 및 작용
1. 복직근(Rectus abdominis)
- 척추의 굴곡에 작용 (하부흉추와 요추의 굴곡에서 일차적으로 작용하는 근육)
- 복압을 증가시킨다.
2. 복사근(내/외)(Oblique abdominis)
※양측(Bilateral contraction)으로 수축시
- 복압을 증가시킨다. (배변, 배뇨, 분만, 구토, 강한호기(Exhalation)시)
- 척추를 굴곡시킨다.
※일측(Lateral contraction)으로 수측시
- 동측으로 측굴시킨다.
- 척추의 회전을 보조한다.
- 외복사근은 체간을 반대측으로 회전시키고, 내복사근은 동측으로 회전시킨다.
3. 복횡근(Transvers abdominis)
- 복압을 증가시킨다.
4. 추체근(Pyramidalis)
- 백선(Linea line)을 긴장시킨다.
※ 복압증가시키는 근육들
- 4개의 복근들, 요방형근(Quadratus lumbarum)
※ 척추를 회전시키는 근육들(한방향 기준)
=> 동측에 작용하는 근육들
- 외복사근, 하부전거근, 광배근의 수직늑골섬유, 심부척추주위근
=> 반대측에 함께 작용하는 근육들
- 반대측 내복사근, 후하거근
◆임상적인 문제
1. TP와 방사통
1. 복직근(Rectus abdominis) ● 상복부(Upper abs) => TP 늑골궁(Costal arch)과 검상돌기(Xiphoid process) 사이의 각진 곳 또는 검상돌기와 배꼽사이에 위치한다. => 방사통 흉요부의 양측으로, 옆으로 줄을 그은 듯한 통증이 생긴다. (일측성 통증인 경우 광배근이 원일일 가능성이 높다.) 검상돌기 부위로 통증을 전이시켜, 소화기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 복부팽만 - 속쓰림 - 소화불량 - 오심 - 구토 ※ 양쪽 수평방향의 요통은 심호흡시 약화된다. - 특히 요추전만시에는 복직근이 더 스트레칭되므로 심하다. - 척추주위근에 의한 요통이라면 호흡에 따른 변화는 없다. ● 하복근(Lower abs) TP는 배꼽과 치골결합(Pubic symphysis) 사이의 중간에 위치하고, 생리통과 관계가 있으며, 방사통은 양측 천장골과 요추부를 가로질러 생긴다. ※ 우측 복직근의 하방TP는 McBurney's point에 위치하여, 급성충수염(맹장통)의 통증과 유사하다. 장골와, 둔근, 음경으로 예리한 통증을 만들기도하고, 설사, 게실염, 부인과적인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치골위의 TP는 배뇨근과 요도괄약근의 경직을 야기할 수 있다. |
|
2. 외복사근(External oblique abdominis) ● 상부의 활동성 TP => 흉곽의 전면, 상복부의 심부통증, 속쓰림 증상, 횡격막탈장증상을 나타낸다. 만약, 실제 탈장에 의한 통증이라면 서있는 자세에서 증상이 나타날 것이다. ● 외하방의 TP (외복사근, 내복사근, 복횡근) => 12번 늑골의 끝과 장골능의 정점을 연결하는 선의 중간지점에 표층의 TP가 생기고, 서혜부, 고환으로 방사통을 만들고, 손가락모양으로 복부의 다른 곳으로 통증이 방사된다. 3. 내복사근(Internal oblique abdominis) - 치골의 상연부와 서혜인대의 외측 1/2을 따라 발생하며, 하부복직근 부위에 생기기도 한다. 방광의 배뇨근과 괄약근의 과민성과 경축을 유발하여 빈뇨, 뇨저류, 서혜부의 통증, 큰 아이의 야뇨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하복부근육의 TP는 만성설사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4. 복횡근(Transvers abdominis) - 앞쪽 늑골연 사이의 상복부에 띠 모양으로 통증이 생기고, 통증이 검상돌기에 집중되기도 하며, 기침할 때 매우 힘들어진다. |
|
5. 추체근(Pyramidalis) - 배꼽과 치골결합(Pubic symphysis)사이의 중간부위에 방사통이 생긴다. |
2. 복근과 관련된 임상 검사
● 근막통증과 내장통을 구분하는 방법
=> 누운자세에서 복근의 긴장을 증가시키면, (복근을 누르고 있는)검사자의 손에서 내장기가 멀어진다. 따라서 복근을 긴장시켰을 때, 통증이 증가하면 복근에 의한 통증이고, 통증이 감소하면 내장기에 의한 통증이다.
● 배꼽의 위치와 움직임 관찰로 문제생긴 근육 찾기
=> 웃음, 기침, 다리들기, 검사자의 손에 저항하여 힘주기 등 복근을 긴장시키면서 배꼽의 위치 변화를 관찰한다. 복근이 균형을 잃은 상태라면, 배꼽은 단축된 근육 방향으로, 또는 약화된 근육의 반대쪽으로 움직인다.
● 복직근과 복사근의 구분
=> 천장을 보고 누운상태에서 머리와 어깨를 들어 견갑골을 바닥에서 떼도록 시킬 때, 환자가 머리만 들 수 있다면 (복사근은 약화되어 작용하지 못하고) 복직근만 수축한 것이다.
● 복직근에 TP가 있는경우 특징
=> 복직근의 복부 전면 지지역할이 힘들어지므로, 배가 아래로 처진다.
=> 복직근이 스트레칭되면 통증이 생기므로, 이 통증을 유발하는 스트레칭 동작(흡기시 횡격막 수축)을 무의식적으로 억제하게 된다. (횡격막을 사용하여 심흡기를 하면 배가 앞으로 처지면서 복직근의 통증이 심해질 수 있다.)
● 신경포착(Intrapment)
=> 척수신경(Spinal nerve)의 앞쪽 분지가 복직근 사이에서 포착되어 복직근 증후군(Abdominal syndrome)을 유발할 수 있다.
(통증은 부인과 질환과 비슷한 하복통, 골반통을 일으킨다.)
'해부학 (근육의 기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30. 척추기립근(Erector spinae muscle group) (0) | 2021.09.28 |
---|---|
29. 요방형근(Quadratus lumborum) (0) | 2021.09.28 |
27. 새끼손가락의 근육과 손의 내재근(Hypothenar muscle) (0) | 2021.09.27 |
26. 무지의 근육들(Muscle group of thumb)_엄지손가락 (0) | 2021.09.25 |
25. 전완과 손가락 굴곡근(Hand & finger flexors) (0) | 2021.09.23 |